김연규 소장품 - 동해는 특별한 표기가 없으며, 한국을 섬으로 표현한 희귀 지도
우리나라가 섬으로 그려진 희귀한 고지도
17C 네덜란드에서 제작되었음.
KimYeonQu + Design
김연규 소장품 - 동해는 특별한 표기가 없으며, 한국을 섬으로 표현한 희귀 지도
우리나라가 섬으로 그려진 희귀한 고지도
17C 네덜란드에서 제작되었음.
김연규 소장품 -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제작된 원형의 세계지도
제작 시기 및 제작자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나 16~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실재적인 세계지도라면, 천하도의 경우 관념적인 세계지도라 할 수 있다. 이 지도가 제작된 조선 중기에는 이것보다 훨씬 실제 한반도에 가까운 지도가 많이 존재해 있었고, 천하도 제작자가 정말로 천하가 이렇게 생겼다고 보고 만든 것이 아니다. 실제로 별 특이한(...) 가상국가들을 만나볼 수 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서 중국이 지도 한가운데에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둥근 원 안에 지도를 그린 것도 특징인데, 이에 대해서는 천원지방[1]을 반영한 것으로서 둥근 하늘에서 본 땅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과 서양 세계지도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 두 가지가 있다.
지도는 내대륙-내해-외대륙-외해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에 등장하는 국가 중에서 한국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5개 국가(중국, 한국, 일본, 류큐, 안남)나 실크로드에 존재하는 국가 일부인 월지 등만이 실제로 존재하는 국가이며, 나머지는 모두 중국 고대 지리서 산해경에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들이다.[2] 이와 마찬가지로 지도 내에 묘사된 지형 중 사실적으로 묘사된 것은 중국의 태산(泰山), 화산(華山), 형산(衡山), 항산(恒山), 숭산(嵩山)으로 이루어진 오악(五嶽)과 황하, 양쯔강(장강)뿐이다. 또 외해의 동쪽 끝이나 외해 바깥쪽에는 일월출(日月出)이라는 글씨와 함께 류파산(流波山)에서 자라는 뽕나무가 그려져 있고 서쪽 끝에는 일월입(日月入)이라는 글씨와 함께 방산(方山)에서 자라는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현존하는 천하도는 18세기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고 지도서의 첫 페이지나 뒷표지 안쪽에서 주로 발견된다.
다만 단독으로 그려진 천하도는 드물다.
중고등 교육과정에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함께 비중있게 다룬다.
2019년 3월 17일, KBS TV쇼 진품명품 천하총도편
김연규 수집품 - 동해(Mer Oriantale)로 표기한 프랑스에서 1730년에 제작된 고지도
프랑스 과학원의 드릴에 의한 아시아 지도
L'Asie suivant Mr. Delisl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
France, Sieur de Chevigny, 1729, 19.5×16㎝
셔비니는 18세기 초반의 저술가인데 지리지와 역사서를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로 출간하였다.
이 지도는 그의 저서에 포함된 지도로 프랑스 왕실지리학자 기욤 드릴의 1700년대 초반의 지도를 활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동해 해역은 동양해(Mer Orientale)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 표시는 없다.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MER DE COREE)로 표기한 프랑스의 고지도
인문학주의자 학회의 세계역사를 위한 중국지도
L Empire de la Chine Pour Servir a l Histoire Universelle d'une Societe de Gens de Lettres
France, Jacques Nicolas Bellin, 1773, 44×31.5㎝
프랑스의 수로학자로 해군지도를 주로 제작했던 벨렝이 1748년에 제작한 것이다.
이 지도는 당대에 편찬된 다양한 역사 서적과 여행 서적에 수록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지도는 그외에도 마농 레스꼬의 저자로 유명한 아베 프레보(Abbe Prévost)의
「여행의 역사(Histoire Générale des voyages)」와
1773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출간된 유럽 역사서(histoire des etablissements europeans)에도 수록되었다.
이 지도는 1763년에 편찬된 인문주의자들이 편찬한 세계역사서로 파리에서 출간된
「태초에서 현대까지의 역사(Histoire Universelle depuis le commencement du Monde jusqu'a Present)」의 중국 편에 수록된 것이다.
각 책에 수록된 지도의 내용은 동일하지만, 제목은 책의 제목과 부합하게 고쳐서 수록하였다.
조선의 국호는 남해와 서해안을 따라서는 프랑스어로 조선왕국의 의미인 ‘ROY. DE CORḖE’,
그리고 육지부에는 독일어로 ‘KOENIG REICH KOREA’로 표기하였다.
동해는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둘 다 사용하여 ‘MER DE CORḖE’와 ‘DAS MEER VON KOREA’로 표기하였다.
조선과 청나라 경계는 압록강 이남으로 매우 축소하여 나타내었고, 평안도를 중국에 귀속시켰다.
또한 함경도 일부 지역은 러시아에 귀속시키는 오류를 범했다. 카르투슈는 로코코 스타일이다.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SEA OF COREA)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아시아
Asia
England, Tomas Jefferys, 1780, 25×20㎝
제프리스는 웨일즈공 프레드릭(Frederic Prince of Wales)에 소속된 지리학자였다.
그리고 그는 프레드릭의 아들이 영국의 조지 3세로 즉위하자 왕실지리학자가 된다.
그는 또한 세계 최초의 국가 아틀라스인 Saxton Atlas의 최종 판을 판각하였다.
이 지도에서는 동해 해역을 한국해(Sea of Corea)로 표시하였음.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Asia
England, Thomas Jefferys, 1749, 25×20㎝
제프리스는 웨일즈공 프레드릭(Frederic Prince of Wales)에 소속된 지리학자였다.
그리고 그는 프레드릭의 아들이 영국의 조지 3세로 즉위하자 왕실지리학자가 된다.
그는 또한 세계 최초의 국가 아틀라스인 Saxton Atlas의 최종 판을 판각하였다.
이 지도에서는 동해 해역을 한국해(Sea of Corea)로 표시하였으며,
중국과 국경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MER DE COREE)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카타이지도
Carte del Katay o Imperio di Kin
Italy, Jacques Bellin, 1750, 34×23㎝
1750년 프랑스의 왕실수로학자 벨렝의『카타이지도(Carte du katay ou Empire de Kin)』의 이탈리아 판이다.
동해 해역은 한국해(MAR DI COREA)로 표기하였다.울릉도와 독도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선과 청나라의 경계는 압록강 북쪽 및 두만강 동쪽으로 넓게 표시하였다.
이 지도는 영어와 네덜란드어로도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 출간되었다.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MER DE COREE)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광동, 요동 및 조선지도
Carta della Provincia di Quan-tong o Lyau-tong E Del Regno di Kau-li o Korea
Italy, Jacques Bellin, 1750, 24×31㎝
프랑스 왕실수로학자 벨렝의 광동, 요동 및 조선지도
(Carte de la province de Quan-tong ou Lyan-tong et du Royaume De Kau-Li ou Coreé)의 이탈리아 판이다.
독도는 Chiang-san-tau로 그리고 동해 해역은 한국해(Mar di Corea)로 표기되어 있다.
한반도 형태는 황여전람도를 참조한 당빌의 조선전도를 모방하였다.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은 당빌의 지도와 유사하게 간도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
그리고 녹둔도를 포함한 두만강 동쪽 지역도 조선의 영토로 표시되어 있다.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MER DE COREE)와 간도를 한국영토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시베리아, 또는 아시아 쪽 러시아, 중국 쪽 타타르, 엘뤼 타타르 및 일본 지도
Siberie ou russie asitique, Tartarie Chinoise Pays des Eluts et Isles de Japon
France, Robert de Vaugondy, 1778, 42×28㎝
프랑스의 왕실 지리학자 보곤디가 1778년 그의 아틀라스인 Nouvel Atlas Portatif에 삽입한 지도로
시베리아와 타타르 지역, 일본을 포괄하는 지역을 표현하였다.
이 아틀라스는 일반 대중을 위한 보급판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수록된 지도의 표현 기법은 단순 명료하다.
홋카이도와 사할린의 형태는 왜곡되어 나타나고 있으나 당시 조선의 영역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훨씬 넘어 매우 넓게 표현하였다.
한반도 내부의 지명으로는 경기도와 평양만 등이 표기되어 있다.
보곤디는 원래 한국쪽의 바다는 한국해, 일본의 동측은 일본해를 표기하는 것을 선호했으나
이 지도에서는 한국해(MER DE COREE)라는 단일 명칭으로 표기하였다.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Sea of Korea)가 표기된 세계 지도
동해가 한국해 (Sea of Korea)로 표기된 18C 영국에서 제작된 세계 지도
중국과 국경이 그려져 있으며,
호주와 북미 (알레스크) 대륙은 아직 확인이 안되어 그려져 있지 않음.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한 영국의 고지도
아시아
Asia from the best authorities
England, Thomas Kitchen, 1770, 27×22㎝
영국의 왕실수로학자(Hydrographer to His Majesty)인 키친이 1770년 제작한 지도로
Guthries의 New Geographical Grammar에 첨부되어 있는 지도이다.
동해 해역은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의 각 도에 대한 표기는 없고,
경기도만 한반도 중앙에 Kino-ki-tau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은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로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주도는 생략되었다.
그리고 태평양은 Eastern Ocean으로 표기하였다.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아시아
Asia from the best authorities
England, Thomas Kitchen, 1770, 27×22㎝
영국의 왕실수로학자(Hydrographer to His Majesty)인 키친이 1770년 제작한 지도로
Guthries의 New Geographical Grammar에 첨부되어 있는 지도이다.
동해 해역은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되어 있다.
선의 각 도에 대한 표기는 없고, 경기도만 한반도 중앙에 Kino-ki-tau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은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로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주도는 생략되었다.
그리고 태평양은 Eastern Ocean으로 표기하였다.
김연규 컬렉션 -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로베르 경에 의한 아시아 지도
An accurate map of Asia drawn from the Sieur Robert
England, G.Rollos, 1766, 35×23.5㎝
프랑스 왕실지리학자 보곤디(Robert de Vaugondy)의 아시아 지도를 영국의 지리학자 롤로가 수정하여 판각한 것이다.
이 지도는 John Barrow의『A New geographical dictionary』에 수록된 것이다.
동해 해역은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하였고, 조선과 청나라의 경계는 간도쪽으로 치우쳐 표기하였다.
김연규 수집품 - 한국해(SEA OF KOREA)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아시아
Asia
USA, Amos Doolittle, 1792, 23×21㎝
Jedidiah Morse가 1792년 출간한
『The American geography : or, a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taining astronomical geography--
geographical definitions, discovery, and general description of America and the United States』에 수록된 아시아 지도이다.
동해 해역을 한국해(Sea of Corea)로 표현되어 있음.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를 한국만(Gulf of Corea)으로 표기한 지도
아시아
Asia from the best authorities
England, John Russel, 1796, 25×20㎝
러셀의 지도로 당시에 구트리(William Guthrie)가 출간한
A New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ommercial Grammar and Present State of Several Kingdoms of the World에 수록된 아시아 지도로 축척은 1:59,700,000이다.
동해 해역은 한국만(Gulf of Corea)으로 표기하고,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이 표시되어 있음.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를 한국만(G de Coree)으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동해를 한국만(GULF. De Coree를 줄여서 G.de Coree로 축약)으로 표기된 17C 프랑스 지도
한국과 중국의 국경도 분명히 표기 되어 있으며, 그 영역이 만리장성에 맞닿아 있음.
김연규 소장품 - 한국해를 한국만(Gulf of Corea)으로 표기한 아시아 지도
아시아
A New map of Asia from the best authorities
England, T.Cadell & W. Davis, 1797, 27×22㎝
카델은 런던의 출판업자로 제임스 쿡의 여행기로 인기를 끈 사람이다. 그리고 데이비스는 그의 사업 후계자이다.
동해 해역을 한국만(Gulf of Corea)으로 표기한 것을 제외하고는 특이한 정보가 없다.
김연규 소장품 - 간도를 한국 영토로 표기, 청일전쟁 이전에 중국과 조선을 대등하게 표현한 지도
19C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중국과 한국' 지도
한국을 명확히 중국과 분리된 국가로 제목 표기하고 있으며,
국경선도 별도 조판으로 색상표기 하였음.
중국과 한국의 국경은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이 아니라,
그 윗쪽의 북간도와 서간도 영역까지 한국의 영토로 표현되어 있음.
김연규 소장품 - 일본이 1890년에 한국 정벌을 준비하고 있었다는 증거 (한국정벌지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영토 야욕을 보여주는 ‘정한약도(征韓略圖)’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지 13년 뒤인 1890년에 일본에서 제작된 지도.
한국 정벌 지도라는 노골적인 이름으로 만들어진 이 지도는
한국의 행정구역과 강, 섬, 산맥을 디테일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한국을 침략하면서 발생한 주요 사건의 위치와 내용도 표기하고 있다
제주도 우측에 우리 수군 (일본군)과 이순신 수군의 해전 위치를 표기하였음.
이 지도는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1910년 한일합방을 할 수 밖에 없었다는
일본의 식민지 합리화론에 반박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김연규 소장품 - 19세기말 한국의 상황과 청일 전쟁을 사진과 삽화로 소개한 영국 잡지
김연규 소장품 - 청일전쟁과 고종의 이동 행렬을 소개한 영국의 신문
김연규 소장품 - 일본의 영토와 명칭 주장이 반영된 일제시대에 제작된 지도
일본인이 한국 지도에 지명을 추가하고, 뱃길, 강길, 도로, 남북도를 구분하여 연필과 펜으로 기록한 흔적이 있는 지도
김연규 소장품 - 나치 히틀러 친위대의 철모
슈탈헬름(Stahlhelm)은 독일어로 "철모"(鐵帽)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흔히 슈탈헬름이라 하면 제1차 세계 대전 말엽부터 피켈하우베를 대체하여
등장한 독일의 투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귀 부분을 덮어주는 챙이 특징적이다.
군복이 멋있어야 많은 사람이 군대에 지원할 거라 생각한 히틀러는 독일 군복 디자인을
휴고 보스에게 맡길 정도로 공을 많이 들였다.
적군에게 위압감을 줄 만큼 강렬한 독일군의 인상은 묵직한 철모의 덕도 크다.
군사 분야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독일군은 쉽게 알아본다.
바로 슈탈헬름 덕분이다. 귀와 관자놀이를 덮는 형태로 디자인되어 다른나라와 쉽게 구분이 된다.
일은 여러 디자인 시안중 하노버공대의 슈베르트 교수가 제출한 모델을 채택한다.
이것이 슈탈헬름 M1916으로 베르도이 전투 투입부대부터 공급이 이루어졌다.
슈탈헬름은 상당히 앞선 디자인의 헬멧이었다.
두개골은 물론 급소라 할 수 있는 관자놀이 부위를 보호하는 최소한의 형태를 갖춘 혁신적인 디자인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영국군이나 프랑스군의 철모는 단지 머리만 감싸는 형태였다.
이렇게 본격 사용된 슈탈헬름은 이후 독일군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슈탈헬름을 착용한 독립운동가 이범석 장군의 사진
중국 장제스의 국민당정부는 일본제국의 침략에 맞서 국방건설을 진행하였따.
중국은 독일에 텅스텐을 수출하고 그 대가로 독일제 무기를 수입하였는데, 슈탈헬름도 그 일부였다.
윤봉길 의사의 의거 이후, 대한민국 광복군은 국민당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게되었는데,
그 때 슈탈헬름도 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범석 장군이 착용한 슈탈헬름도 바로 이 M1935이다.
김연규 소장품 - 일왕이 중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과 해군 장교에게 하사한 검
쇼와덴노 즉위 15년, 코우키 2,600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단검이다.
코우키는 일본의 첫번째 덴노인 신무덴노가 즉위한 해로서 기원전 660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이다.
칼집에는 '천황 쇼와 십오년'이라고 쓰여 있어서 제작년도를 알 수 있으며,
검신에는 '천황 40127' '쇼와십오년 사토코타로'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
이 검은 수작업으로 제작되었으며, 칼, 칼집, 손잡이를 비롯한 모든 디테일이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문양과 문자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군국주의가 부각되면서 침략전쟁을 시작한 일본은 사무라이 정신을 강조하였고,
봉건 사회의 사무라이 정신은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인의 영적 기둥이 되었다.
이 칼은 사무라이 검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군인의 명예와 존엄성을 상징한다.
장교의 검이라고 알려진 일본 천황검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육군, 해군 장교 및 사령관이 착용하였으며 최고 권력과 지위를 나타냈다.
칼집에 새겨진 '久武長運(구무장운)' 은 오랜 직위와 오랜 행운(Long Take Long Fortune)을 뜻한다.
일본의 침략 전쟁과 제국주의를 명확히 증언하고 있는 슬픈 검이다.